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 성공 마인드96

주식 투자 기초 상식 2 1. 언제 주식을 사야 할까? When to buy? 미국에서는 보통 Buy Discipline(매수 원칙)이라고 한다. 주식을 사고 싶을 때는 기업의 펀드멘털이 마음에 든다든가 아니면 경영진이 마음에 든다든가 아니면 앞으로의 성장성이 엄청나든지 그 주식 가격이 너무나 저평가되었다든가 하는 여러 가지 이유로 사게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러한 기업들을 보아도 쉽게 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마켓 타이밍을 기다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금 주식 가격이 1만원 하는 것을 9천900원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마음 때문에 사지 못한다. 좋은 조언은 만 원 주식을 살 때 20% 이익을 얻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10년 후에 10만원 혹은 20만원이 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사는 .. 2024. 6. 11.
주식 투자 기초 상식 1 1. 변동성(Volatility) vs 위험(Risk)에 대한 이해  주식을 무서워하는 이유가 위험 때문이다. 이는 변동성과 위험을 이해 하지 못해서 두려워한다.  변동성은 가격이 변동하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이다. 변동성은 맞출 수가 없다.  주식투자의 근본은 도박과 다르게 변동성은 내가 맞출 수 없지만 위험은 내가 어느 정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내가 회사에 대해서 연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장된 회사는 금융감독원에 기업의 실적을 보고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사가 돈을 버는 건지, 어떤 문제가 있는지 모든 사람이 다 알 수가 있다. 그래서 위험(리스크)은 내가 컨트롤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주식투자의 근본은 변동성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위험(리스크)을 내가 어떻.. 2024. 6. 10.
나의 금융 지식 점수는 몇 점? 금융에 관련된 용어들이 얼핏 보기에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관심을 조금만 가지고 그 뜻을 알아가기 위해 시작하면 딱히 난해한 것만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언론 기사에 그런 용어들이 등장할 때마다 그 의미를 되새겨 익히는 습관을 들인다면, 오래지 않아서 그 뜻과 쓰임새에 익숙해질 것이다. 금융문맹에서 탈출하고 싶다면, 어느 정도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꼭 알아 두어야 한다.  아래에 예로 든 몇 가지 문제들을 보면서, 기본적인 금융 지식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 판단해 보자. 성적이나 등급을 매길 필요는 없다.모르는 것들은 지금부터 하나씩 배워나가면 될 일이다. 아래 질문들에 대한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다른 금융 지식도 추가로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30대 .. 2024. 6. 8.
배가 원리란? 배가의 원리는 은행이 처음 등장할 무렵 어느 부유한 상인의 예치금에 이자를 지급하면서 나온 개념으로 엄청난 증식 효과가 있습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도 세계 8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불리는 '배가의 원리 굉장히 강력하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재산 증식에서 배가의 원리는 기본 초석입니다. 세계적인 갑주들은 돈을 위해 일하지 않고 돈이 그들을 위해 일하도록 만듭니다. 즉, 그들은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상관없이 일 년 내내 막대한 이윤을 안겨주는 파이프라인에 엄청난 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돈은 배가의 원리로 증식합니다.  배가의 원리는 실감하려면 수십 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즉, 배가의 양과 속도는 수십 년이 지나야 그 실체를 드러냅니다.  그들이 어떻게 더욱더 부자가 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72.. 2024.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