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 성공 마인드96

2025년 고용노동부 달라지는 제도 Ⅰ '임신·출산·육아' 알아보기 2025년부터 달라지는 고용노동부 제도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첫 시간으로 임신·출산·육아 관련 정책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   육아휴직 급여 인상, 기간 연장 - 육아휴직 급여가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된다.- 혼자 육아휴직 하면 연 최대 2,310만 원- 부부가 같이 육아휴직 하면 연 최대 5,920만 원(부부 합산)- 기간이 연장됩니다-  부모가 각각 3개월 이상 사용-  한 부모, 중증 장애 아동 부모 → 1년 6개월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사후 지급 방식 폐지 및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급여 계산 시 적용되는 기준금액 상한액 인상이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며, 이로써 현행 전과 개편 이후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 현행: 육아휴직 기간 통상임금 80%(월 상한 150만원)  개편: 첫.. 2025. 1. 22.
미국 2024년 마지막 금리 인하 이해하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0.25%P 낮은 4.25~4.50% 조정한다고 밝히면서 9월 0.5%P 인하, 11월 0.25%P 인하에 이어, 12월 18일 다시 한번 더 기준 금리를 0.25%P 인하하였다. 금리 인하의 이유로는 '올해 초부터 노동 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되었고 실업률은 상승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낮다' 고용시장을 살리기 위해 금리를 빠르게 인하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든 것이다. 실업수당 청구 역시 최소 2주 이상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2월 첫째 주에는 187만 4000건을 기록해 직전 주 대비 5000건으로 초 급증한 뒤 감소했다. 내년 실업률은 9월 회의 때보다 0.1%포인트 낮은 4.3%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4. 12. 20.
'한국 금리 인하' 앞으로 경제 전망 한눈에 알아보기! 미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이 추가 금리 인하를 할 때도 한국은행은 부동산값 상승과 이로 인한 가계부채 증가 등의 이유로 금리 인하를 못 했다. 하지만 지난 10월만 해도 추가 금리 인하 여부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던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2개월 연속 0.25%P 인하하여 연 3.00%로 결정되었다.  오늘은 대한민국 금리 인하로 인한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이 올지 알아보자!  미국과 우리나라 금리 기준 대한민국 국제 무역은 미국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우면서 우리나라 수출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이 때문에 11월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는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띠고 있지만 우리나라.. 2024. 11. 29.
미국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요즘 계속 미국의 경제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나라인 만큼 대선 이후 전 세계가 미국 경제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오늘은 '미국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알아보자!장단기금리란?미국의 국채는 만기 종류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 국채로 나뉘며, 미국 장단기 금리차는 장기금리와 단기금리 간의 차이를 말한다. * 장기 금리: 10년물 국채 금리 사용* 단기 금리: 3개월 또는 2년물 국채 금리가 사용일반적으로 미국 국채는 10년물과 2년물 금리 간 격차를 의미하는데, 2년물은 연준(Fed)가 금리를 결정하게 되면 단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고, 10년물은 경기를 반영해서 움직이는 금리다.10년물 국채 금리에서 2년물 국채 금리를 뺀 값이다.  장단기금리의 영향보통 장기 국채.. 2024. 11. 23.
반응형